나호준 대표(경영 담당)와 안지혜 대표(콘텐츠 기획 담당)가 운영하는 ‘스텐드’는 심리학 연구 기반 사업으로 청년의 고민을 해결하고 긍정적 고민 경험 문화를 확산시키는 소셜 벤처이다. 교육 사업 ‘스텐드랩 청년연구소’에서 청년 진로 고민을 연구해 진로 코칭 워크숍 <프로진로고민러>를 진행하고, 심리학 고민 문구 브랜드 ‘프로고민러 랩’에서는 다양한 고민 툴킷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한다.
Q. 그동안의 살아온 흐름이 궁금하다.
A. (나호준) 진로 고민이 매우 심한 청년이었고 다양한 직업을 시도해봤으나 그 과정이 쉽지 않았다. 지나고 보니 ‘좀 더 영리하게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면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소셜 벤처의 존재를 알게 되고 내가 겪는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회사를 만들고 싶다고 생각했다. 이에 소셜벤처 ‘언더독스’에서 운영하는 ‘창업사관학교 7기’ 활동에 참여해 안지혜 대표를 같은 팀원으로 만났고 합이 좋아서 지금까지 함께 하고 있다.
(안지혜) 꿈을 찾는 일은 사실 답을 찾는다기보다 평생 고민할 문제를 찾는 것에 가깝다. 보통 대학을 졸업하면 소속이 사라지니 충분히 고민하고 진로를 선택하기보다는 당장 뭐라도 해야 할 것 같은 조바심이 든다. 나의 경우, 대학도 열심히 다니고 졸업과 취업도 바로 했다. 어떻게 보면 정석적인 루트로 계속 달려왔는데 직장 1년 차가 되니까 문득 ‘내가 어떤 삶을 살고 싶은 거지?’라는 질문이 들었다. 그래서 친구들을 모아 프로진로고민러 크루를 만들어 ‘우리는 백수가 아닌 프로진로고민러’라는 생각으로 활동했다. 그 과정에서 전문 자격증도 따고 만나는 사람마다 진로 코칭을 해주다 보니 거기서 데이터가 쌓인 것이 이후 스텐드에서의 교육 커리큘럼 제작으로 이어졌다.
Q. 스텐드랩 청년연구소(ST.END LAB)와 진로 코칭 워크숍 <프로진로고민러>를 통해 청년 진로 교육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청년의 진로 고민'에 집중한 이유는 무엇인가?
A. ‘스텐드랩 청년연구소’는 ‘모든 청년이 나답게 사는 세상’이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경우, 성인이 되고 난 후의 진로 고민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사회는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진로 고민이라는 것은 평생 내가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고민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이기에, 이 과정을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교육 사업 내 큰 목표로 두고 있다.
기존 진로 교육은 청소년 대상인 경우가 많은데, 사실 청년 시기 진로 고민이야말로 해결이 시급한 응급 상황이다. 많은 청년이 진로 고민으로 겪는 고통이 크지만, 심리상담, 코칭 등 전문적 도움을 받을 만한 경제력이 있는 나이대는 아니기에, 이들에게 심리적, 경제적 부담을 낮추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Q. 교육 사업의 진행 방식 및 성과는 어떠한가?
A. ‘집에서도 할 수 있는 진로 코칭 PT 서비스’의 콘셉트이다. 진로 고민에 필요한 리서치 근육, 결정 근육 등 여러 생각 근육을 체계적으로 발달시킬 수 있는 맞춤형 진로고민플래너 6종 <프로진로고민러>을 제공한다. 혼자서도 가이드를 따라 적용해볼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맞춤 과정이라는 것이다. 온라인 유형 테스트를 통해 어떤 고민 유형인지 파악하게끔 설계되어 있다. 아무래도 삶을 다룬 영역이다 보니 청년의 눈높이에서 그들이 현 시점에서 고민하는 것들을 반영하는 게 중요하다.
최대한 청년의 부담을 낮추기 위해 각종 지자체, 대학교, 기업, 재단 등 다양한 주체와 협업을 진행한다. 지금까지 누적 1만 명 이상 참여 인원을 대상으로 약 800회의 워크숍을 진행했고 약 3만 5천 건 정도의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었다. 데이터를 분류하면서 새로 알게 된 것을 토대로 매년 리뉴얼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Q. 자립준비청년, 고립은둔청년 등 사회적 취약청년 대상 진로 교육도 진행해온 것으로 알고 있다. 대상자별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고려사항이 있는가?
A. 자립준비청년의 경우, 현실적으로 지금 당장 생계가 급한 문제를 안고 있는 경우가 많다. 프로그램에서 기르는 고민 근육 중에서도 현실적인 부분과 맞닿아있는 실행 근육, 리서치 근육 등과 근본적으로 자신을 이해하는 근육 코스를 섞는다든지 등의 방향으로 커리큘럼을 구성했다.
고립은둔청년의 경우, 한 코치당 3명씩 맡고 적어도 1년 정도 장기간 꾸준히 만났다. 천천히 에너지를 높여 라포 형성을 해나갈 수 있도록 했다. 오랫동안 자신에게 모진 말들을 해왔던 사람들이기에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훈련을 했다.
취약 청년뿐만 아니라 모든 청년은 특수성이 있다. 각 대상층에 대한 이해도를 기르기 위해 많은 연구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방적 강의 전달 형식보다는 5, 6명 정도의 소그룹을 구성하여 고민을 듣고 관계적으로 고민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대상자별 특수한 패턴을 발견하고 이에 적합한 커리큘럼을 개발하되, 현장에서는 각 패턴에 그들이 갇히지 않도록 개인의 고유함을 다루려 노력한다.
Q. 다양한 대상자에게 진로 코칭을 진행하며 깨달은 점은 무엇인가?
A. 우리의 기본 철학은 ‘모든 사람은 스스로 자신만의 답을 찾을 수 있다’라는 것이다. 코치들을 훈련할 때 ‘우리는 대상자가 스스로와의 대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맞은편에 거울처럼 앉아 드리는 것이다’라고 이야기한다. 많은 사람들이 그런 장만 마련해주어도 스스로 해결해나갈 수 있는 내적인 힘이 있다는 것을 느꼈다.
교육학에서 진로 분야에 대한 최신 담론 중 ‘계획된 우연 이론’이라는 것이 있다. 보통 사람의 삶이 선형적으로 이어온다고 생각하는데, 그건 사람들의 착각이다. 우리는 선형적으로 나아가지 않고 우연히 어떤 기회를 맞이하고 우발적으로 어떤 것들이 자라난다. 균형 잡힌 자기 이해 기반으로 관심 있는 분야 내의 우연한 기회를 끌어낼 수 있게끔 나를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지속해서 좋은 질문을 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긍정 심리학 기반으로 스스로 균형 잡힌 자아상을 형성하는 사고 훈련을 많이 한다. 좋은 질문을 가지고 있는 사람한테는 반드시 좋은 답이 주어진다고 생각한다.